Meet Our Team
home

유튜브는 어떻게 수십억 명에게 개인화 영상 추천을 할까?

최익규 (Ikkyu Choi)
최익규 (Ikkyu Choi)
안녕하세요, AI팀 Machine Learning Engineer 최익규입니다. 해당 아티클은 구글에서 발표한 논문의 흐름을 그대로 따라가면서도, 중간중간 이해를 돕기위한 그림과 제 생각이 추가되어있습니다.

1. Introduction

이 논문은 Youtube와 같이 매우 large-scale의 환경에서 video recommendation하는 내용을 다룹니다.
데이블에서도 매우 large-scale 환경에서 광고 추천을 하는데요. 유사한 내용이 많아서 해당 논문을 다루게 되었습니다.
위 그림을 한 번 봐볼게요. 현재 시청하고 있는 비디오는 테니스 경기입니다. 오른쪽 하단을 보면 사용자가 좋아할 것 같은 비디오를 추천해주는 걸 볼 수 있어요. 여기 있는 리스트를 어떻게 개인화 추천 해줄 수 있을 것인지가 이 논문에서 풀고 싶은 문제입니다.
단순하게 생각하면, 간단하게 느껴질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Youtube는 수십억 명의 사용자가 매일 수십억 개의 비디오를 올리기 때문에 수십억 개 중에 몇 개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입니다.
그래서 보통 2-stage로 나뉘어서 추천을 수행합니다. 아래는 마찬가지로 Google의 Youtube 논문에 나왔던 figure입니다.
candidate generation을 통해서 수백만개의 video를 수백 개로 줄이고, 뒤에서 더 정교하게 ranking을 매기게 됩니다. 이는 뒤에 한 번 더 소개되니, 대략적으로 알고 계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런 large-scale의 recommendation 시스템을 product 환경에서 돌리기 위해서는 많은 challenging한 부분들이 존재합니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아래 두 challenge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1.
Multi Objectives
추천 시스템의 목표가 여러 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클릭을 많이 발생시키고, 좋아요가 많으면서 싫어요는 적게 받는 목표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각각의 목표는 유사하지만 동시에 학습시키는 과정에서 conflict가 발생할 수 있고, 모든 objective에 대해서 goal을 만족시키는 모델을 학습시키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2.
Bias
추천 시스템은 bias와의 싸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모델을 학습시키기 위해서는 데이터가 필요한데, 이 데이터는 현재 시스템으로부터 생성된 데이터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feedback loop가 발생하고 이런 걸로 인해 계속 같은 비디오만 추천된다던가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 두 개의 챌린지를 해결하기 위해 이 논문은 MMoE구조를 채택하여 multi-objective를 강건하게 학습하면서도, shallow tower를 같이 학습시켜서 bias를 제거하고자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위한 모델 아키텍쳐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 아래에서 차근차근 한 component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 Related Work

Related work에서는 크게 3개의 sub-section으로 나뉩니다.
1.
Industrial Recommendation Systems
2.
Multi-objective Learning for recommendation Systems
3.
Understanding and Modeling Biases in Training Data
각각의 sub-section은 아래에서 중간중간 나올 예정이므로 생략합니다.

3. Problem Description

논문의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논문에서 저자들이 풀고자 하는 문제는 “현재 사용자에게 다음으로 볼 비디오를 추천하는 것”입니다. 이 섹션에서는 해당 문제가 가지는 챌린지들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설명하고, candidate generation과 ranking으로 구성되어있는 two-stage 구조에 대해 소개합니다. 이 논문은 이 둘 중에서 ranking 부분에 focus를 맞춥니다.
Real-World, 특히 유튜브와 같이 전세계 사람들이 사용하는 대규모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비디오를 추천한다는 것은 추가적으로 고려해야하는 요소들이 있습니다.
Multimodal Feature Space
상황을 이해하는 개인화 추천을 하기 위해서, 여러 modality(다양한 소스)로부터 후보 영상들의 user utility를 학습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Video Content 그 자체 내용이 될 수도 있고, thumbnail 이미지, audio, title, description, user demographics가 소스가 될 수 있습니다.
이 한 화면에도 다양한 소스의 데이터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런 다양한 소스로부터 representation을 학습하는 것은 다른 ML 애플리케이션과 비교해서 유니크하게 가지는 challenging한 점들이 있습니다.
1.
Content Filtering
저자들은 여기서 *“semantic gap”*을 극복하는게 중요한 문제라고 하고 있습니다. 이는 low-level content feature(e.g., 섬네일 이미지, 비디오 제목 등)이 비디오의 종류, 사용자의 선호와 같은 고수준의 의미로 연결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이런 용어를 사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2.
Collaborative Filtering
Collaborative Filtering은 추천에 관심이 있다면 다들 한 번쯤 들어보셨을 키워드입니다. 사용자와 아이템 간의 상호작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추천하는 방식인데요.
여기서의 주요한 문제는 데이터가 sparse하다는 것입니다. 유튜브로 예를 들면, 사용자들이 모든 비디오를 보고 평가하지는 않기 때문에, 데이터가 매우 sparse하게 되고 이는 추천 모델을 학습하는데 있어서 챌린징한 부분입니다.
Scalabiltiy
말 그대로 확장성이죠. 수십억 명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추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확장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추천 모델은 학습, 그리고 특히 서빙(즉, 추론) 측면에서 효율적이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추천 시스템을 두 단계로 나누게 됩니다.
바로 위에서 얘기가 몇 번 나왔던 Candidate Generation과 Ranking입니다.

3.1 Candidate Generation

유튜브에서는 다양한 candidate generation 알고리즘들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각각의 알고리즘들은 모두 쿼리 비디오(사용자가 시청 중인 비디오)와 candidate video의 유사성을 포착합니다.
예를 들어서, 한 알고리즘은 쿼리 비디오와 유사한 토픽을 가지는 후보군을 생성합니다.
또 다른 예로는, 쿼리 비디오와 함께 자주 시청된 비디오들로 후보군을 생성합니다.
우측 상단의 tab 하나하나가 ad candidate은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여기서 생성된 candidate video들은 ranking stage로 넘겨져서 디테일하게 스코어가 매겨집니다.

3.2 Ranking

Candidate generation 단계에서는 수백 개로 추려진 후보군들에 대해서 순위를 매기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Candidate generation 단계에서는 쿼리 비디오와 어떻게 유사한 비디오를 묶을까가 핵심이었다면, 해당 단계에서는 유저의 관심이 높을 것 같은 비디오를 상단에 위치시키기 위해서 스코어가 매겨진 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neural network와 같이 좀 더 advanced하고 복잡한 ML 기술들이 주로 사용됩니다.

4. Model Architecture

이 섹션에서는 논문에서 제안하는 ranking system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합니다.
핵심은 아래 두 가지로 보입니다.
1.
Multi-task 학습을 통한 사용자 행동 예측
a.
MMoE라는 SOTA multi-task 학습 모델을 활용
2.
Selection(특히 position) bias를 어떻게 완화할 것인가
a.
Shallow tower를 MMoE 구조에 결합하여, training 데이터에서 발생하는 selection bias를 학습하고 감소시킴

4.1 System Overview

이 Ranking system에서는 두 가지 타입의 유저 반응을 예측하도록 학습합니다.
1.
Engagement Behaviors
click, watch와 같습니다. 이 행동을 한다고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은 것은 아닙니다.
2.
Satisfaction Behaviors
like, dismissal와 같습니다. 사용자의 만족도를 직접적으로 알 수 있는 반응입니다.
첫번째 stage로부터 넘겨받은 candidate들로부터, ranking system은 다음과 같은 feature들을 활용하여 user가 어떤 행동을 할지를 예측하게 됩니다.
Features of Candidate
후보 비디오들의 특징이겠죠. 후보 비디오들의 카테고리, 섬네일 이미지, 제목 등이 될 수 있겠습니다.
Query and Context
현재 보고있는 비디오와 현재 user의 context(날씨, 시간 등)이 될 수 있겠습니다.
그러면 어떤 데이터를 가지고 학습한다는 것은 알았고, 모델링은 어떻게 할까요?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목적을 가지는 분류문제와 회귀문제의 조합으로 모델링합니다. 주어진 query, candidate, context를 가지고 ranking model은 사용자가 어떤 행동을 할지에 대한 확률을 예측하게 됩니다.
이 방식은 point-wise approach 방식입니다. 추천에는 pair-wise, list-wise와 같은 다른 방식들도 존재하지만 추론시 효율을 위해서 point-wise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고 합니다.
간단히 말로 설명하자면, point-wise는 한 item에 대한 어떤 확률을 예측한다면, pair-wise나 list-wise는 item간의 순서도 고려하여 예측하는 방식입니다.
랭킹 성능이 pair나 list 방식이 더 좋겠지만, 모든 아이템들에 대한 고려를 해야하기 때문에 실시간 추론에는 적합하지 못합니다.

4.2 Ranking Objectives

위에서 여러 번 나왔듯이, 본 논문에서는 Ranking system이 여러 objective를 가지도록 설계했습니다.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밑에서는 2개의 objective(engagement, satisfaction objective)로 가정하고 설명합니다.
Engagement
binary classification(i.e., clicks)
regression (i.e., time spent)
Satisfaction
binary (i.e., like)
regression (i.e., rating)

4.3 Modeling Task Relations and Conflicts with Multi-gate Mixture-of-Experts

이 논문에서 푸는 문제가 multi-objective를 다루기 때문에, multi-objective를 다루는 모델 아키텍쳐에 대해서 고민을 했습니다.
이런 ranking system에서는 shared-bottom model architecture를 흔히 사용하지만, task 간의 correlation이 낮다면 오히려 성능에 안좋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여러 objective를 같이 학습시키면서도 conflict를 완화하기 위해서, 해당 논문에서는 Multi-gate Mixture-of-Experts(MMoE) 아키텍쳐를 도입하고 확장했습니다.
MMoE는 soft-parameter sharing model구조로, task간의 conflict나 relation을 모델링하기 위해 디자인되었습니다. MMoE는 multitask 학습을 위해서 Mixture-of-Experts(MoE)구조를 따릅니다.
MoE 구조를 글로만 설명하면 뭔말인가 싶을 수 있으니, 다른 아티클의 그림을 같이 보겠습니다. 논문에도 그림은 존재하는데요. 아래 그림이 더 직관적인 것 같아서 가져왔습니다.
MoE는 입력을 여러개의 experts 하위 네트워크로 분할하여 학습하는 신경망의 패턴입니다.
그림에서 보다시피 각 transformer block에서 여러개의 experts가 존재하고, Router network를 통해서 어떤 experts layer를 사용할건지를 선택하게 됩니다.
추가로 설명을 덧붙이자면, 몇명의 experts를 사용할것인가는 학습 파라미터입니다.
예를들어 하나의 입력에 대해서 2개의 experts를 사용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Router network는 보통 MLP인데, MLP를 통과해서 나온 outputs에서 logit이 가장 높은 2개를 선택하고 그 2개를 softmax layer를 태워서 각 experts의 가중치를 구하여 각 experts layer의 output에 고려되어 다음 layer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구현됩니다.
이거를 수식으로 구현한 부분이 아래가 되겠습니다.
Given task $k$, the prediction $y^k$, MMoE layer with n experts output for task $k$: $f^k(x)$
$x$ is a hidden embedding, $g^k$ is the gating network for task $k$.
$$ y_k=h^k(f^k(x)), \\ where f^k(x)=\sum_{i=1}^{n}g_{(i)}^{k}(x)f_i(x) \\ g^k(x) = softmax(W_{g^k}x), $$
여기서 MMoE가 MoE와 다른점은 task마다 gating network가 있다는 것입니다. MoE는 단일 gating network를 사용하여 주로 단일 작업을 처리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즉, 다른 task라도 같은 experts 가중치 조합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MMoE는 multi-objective학습에 적합하게 설계된 확장입니다. gating network가 task마다 있다는게 특징이구요. 그래서 각 task마다 최적의 experts 조합을 다르게 선택하여, 다른 작업들간의 특성을 더 잘 반영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런 MMoE 아키텍쳐를 사용함으로서 얻는 이점을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겠습니다. (논문에 있는 내용은 아니고 제 생각입니다. )
각 task에 맞는 gating network를 학습하여, 개별 task의 특성에 맞게 experts를 선택 및 조합하는 방식으로 학습 효율을 높입니다. 이를 통해 서로 correlation이 없거나, conflict가 있는 task들로 인해 학습이 방해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겠습니다.

4.4 Modeling and Removing Position and Selection Bias

보통 추천 시스템에서는 implicit feedback(e.g., click)을 학습에 많이 활용합니다(좋아요 나 싫어요 같은 explicit feedback은 너무 rare한 이벤트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런 implicit feedback에는 “현재의 결과는 현재 존재하는 추천 시스템으로부터 생성되었다.” 라는 이유로 bias가 끼게 됩니다. 그에 대표적인 게 positionselection bias입니다.
유튜브로 예를 들면, 보통 리스트의 가장 위에 있는 비디오가 주로 시청되고 클릭됩니다. User의 utility와는 상관없이 단순히 위에 있기 때문에, 클릭이 잘 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클릭 되었다는 것입니다. 이런 데이터로 학습하면 모델은 bias가 낀 데이터를 학습하기 때문에 위험하겠죠.
예를 들어, 한국의 평균 키를 구하는 문제를 푼다고 해보겠습니다. 그래서 군대에서 평균 키를 재었더니 174더라. 그래서 한국 사람의 키를 예측할 때 174로 예측하는 것과 비슷한 맥락이죠.
많은 추천시스템은 이런 bias를 없애기 위해 노력하고, 이 논문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user-utility를 담당하는 main tower와 bias를 담당하는 shallow tower를 같이 학습합니다.
shallow tower는 selection bias, position bias에 영향을 주는 feature들을 입력으로 받고, final logit이 main model의 final logit에 더해집니다.
이러한 방식이 어떻게 bias를 없애는데 도움이 될까요?
shallow tower는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비디오가 클릭되거나 선택된 것에 대한 편향된 확률을 학습하고, 이를 main tower에 예측을 보정하는데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서, 마지막에 있는 영상의 품질이 좋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위치 때문에 클릭 확률이 낮게 예측되었다고 합시다. 이 경우 shallow tower는 "마지막에 있어서 클릭이 덜 될 것"이라는 편향을 학습했고, 이를 기반으로 main tower의 낮은 예측값을 "위치 때문에 낮아졌을 뿐"이라고 보정할 수 있는 신호를 main tower에게 보내준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여기까지 와서 논문의 시작에 나왔던 아키텍쳐(Figure 1)를 다시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이제는 각 컴포넌트가 이해가 가시죠?

5. Experiment Results

이 섹션에서는 Youtube 사용자의 implicit feedback을 사용해서 ranking 모델을 학습하여 offline, live(online이라고도 함)실험을 진행합니다.
여기서 offline 실험이란, 모델 학습 후 AUC와 같은 metric을 살펴보는 걸 의미합니다.
live(online) 실험이란, product에 랭킹시스템을 내보내서 얻을 수 있는 CTR, 좋아요 수 와 같은 metric을 살펴보는 걸 의미합니다.
이 당시에 유튜브의 MAU(monthly active user)는 19억 명 정도 되고, 매일 수천억 건의 사용자 로그를 생성해냈다고 합니다.
이 랭킹 시스템은 아래 사진에서 오른쪽에 보이는 Up next 리스트를 추천해주는 것으로 보입니다.

5.1 Experiment Setup

모델 학습과 서빙은 Tensorflow 사용. 구체적으로는 TPU를 사용해 모델을 학습하고, TFX를 사용해 모델을 서빙했다고 합니다.
Offline 실험에서는 AUC(for classification task), Squared Error(for regression)을 모니터링했고, live에서는 유튜브에 머무른 시간, 좋아요 등을 관찰했습니다.
또한 live metrics에서는 모델 서빙 시에 computation cost도 같이 신경썼다고 합니다.

5.2 Multitask Ranking with MMoE

Multitask ranking을 위해서 도입한 MMoE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baseline methods와 같이 live 실험을 수행했습니다.
베이스라인 모델은 shared-bottom model 아키텍쳐를 구성했습니다.
반대로 MMoE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실험 결과는 이렇습니다.
Multiplication 수로 computation cost를 유추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MMoE도 shared bottom layer를 하나 가지기 때문에 computation cost에는 별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MMoE를 썼을 때, live metric의 성능이 오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experts가 8개일 때 더 높은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MoE가 multi-objective optimization에 어떻게 도움을 주는지 더 이해하기 위해서, 각 task에 대하여 softmax gating network의 확률을 plot해주었습니다.
figure를 보면, 한 task에 대해 여러 experts들이 관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 task에 대하여 correlation이 높은 여러 expert들이 관여하여 더 높은 성능을 내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
또한 세세한 내용으로 Gating network를 학습할 때, 양극화되어서 expert의 distribution이 너무 imbalance한 문제가 있었다고 하는데요, gating network에 dropout을 배치해서 이를 해결했다고 합니다.

5.3 Modeling and Reducing Position Bias

Position Bias
figure 6를 보면, position 별로 CTR이 얼마나 다른 지를 보여줍니다.
figure 7을 보면, 학습된 position bias를 보여주는데요. 이게 main tower의 final logit에 더해져서 학습 시에 실제 예측값을 보정해줄 수 있겠습니다.
실제 서빙 시에는 position을 missing value로 넣어서, position bias가 없는 예측을 활용한다고 하네요.
Shallow tower와 비교하기 위해서, Domain adaptation의 adversarial loss를 같이 보여주고 있는데요. Shallow tower의 성능이 더 좋습니다.

5.4 Discussion

이 섹션에서는 이 랭킹시스템을 만들면서 얻은 insights와 limitation들을 말해줍니다.
1.
Neural Network Model Architecture for Recommendation and Ranking
추천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모델이 computer vsision이나, NLP와 같은 task에서 사용되는 아키텍쳐를 사용하지만, 아래와 같은 이유들로 적합한 구조는 아니라고 합니다.
multimodal feature spaces
natural language나 image 문제와는 다르게 추천은 여러 소스로부터의 feature에 의존하게 됩니다. 여러 feature space로부터 학습하는 것이 challenging하다고 합니다.
scalability and multiple ranking objectives
보통은 하나의 objective를 가지지만, 추천은 여러 objective를 가집니다. 그러면서도 확장성있는 구조까지 생각해야 합니다.
Noisy and locally sparse training data
training data가 long-tail 형태로 생겼고, 그런 item들에 대해서는 학습이 어렵습니다.
Distributed training with mini-batch SGD
큰 neural network를 사용하기 때문에, 분산 학습을 해야 하는데 이것 자체로 어렵습니다.
2.
Tradeoff between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성능이 좋은 모델을 만들기 위해서는 cost가 비싸지고, cost를 아끼자니 성능이 떨어집니다.
3.
Biases in Training Data
이 논문에서 다루는 position bias이외에도 여러 타입의 bias들이 존재하는데, 그것을 어떻게 자동으로 찾고, 모델링할지가 어렵습니다.
4.
Evaluation Challenge
offline지표와 online지표가 align되지 않아 어렵습니다.
마지막으로 아래와 같은 방향을 future direction으로 말하면서 끝납니다.
모델 performance를 해치지 않으면서도, 성능이 좋은 multi-objective ranking을 위한 모델 아키텍쳐에 대한 연구
알지 못하는 bias들을 자동으로 찾고 모델링하여서 bias를 완화할 수 있는 아키텍쳐
서빙 비용을 줄이기 위한 모델 압축

참고자료

작성자
작성자
관련된 글 더 보기